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새만금 잼버리 대회가 막을 내린 뒤에도 그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치권은 여전히 남 탓하면서 책임 공방을 벌이고 있고 감사원은 대대적인 감사에 착수했습니다. <br> <br>앞서 다른 나라에서 열렸던 잼버리 대회들을 살펴보면 이번처럼 혹독한 날씨 불편한 환경이 문제였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그들은 우리와 달리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. <br> <br>무엇이 성패를 갈랐는지 세계를 보다 전혜정 기자입니다 <br><br>[기자]<br> 스카우트 대원 4만여 명이 광장에 모였습니다. <br> <br>거친 강물에 몸을 던지고 광활한 자연 속에서 즐기는 짜릿한 야외 체험과 다양한 문화 활동으로 더위를 날립니다. <br> <br>[2019년 잼버리 참가 한국인 대원] <br>"한국의 전통의상, 한복을 입었습니다." <br><br>100년 넘게 이어진 잼버리대회는 전 세계 10대 스카우트 대원들이 교류하는 축제의 장입니다.<br> <br>개최 국가에게는 문화 관광 홍보의 기회가 됩니다. <br> <br>[2015년 잼버리 일본 홈스테이 참가 대원] <br>"여기가 현관인데, 신발을 벗고 들어가야 해요." <br><br>과거 잼버리 결산 보고서들을 살펴보니 항상 날씨가 야외 캠핑의 발목을 잡았습니다. <br> <br> 지난 2011년 스웨덴에선 행사 초반 습한 날씨가 변수가 됐고 2015년 일본 야마구치에선 40도에 달하는 고온다습한 날씨와 태풍으로 열사병과 수막구균 감염병이 돌았습니다. <br> <br>2019년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주 잼버리 또한 천둥 번개 때문에 일부 일정을 취소해야 했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모두 '선방했다'는 평가를 받은 이유는 세밀한 준비 덕분입니다.<br><br>스웨덴은 인프라가 갖춰진 장소를 캠핑장으로 골라 예산을 절감하는 대신, 하수관과 전기선로 재정비에 주력했습니다.<br> <br>[2011년 스웨덴 잼버리 자원봉사자] <br>"집에서 쓰는 모든 전기 장비를 쓸 수 있도록 준비했어요." <br> <br>일본은 긴급 전화 '잼버리 110'을 운영해 위급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렸고, 미국은 행사 중 대원들에게 날씨를 중계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했습니다. <br> <br>[2019년 미국 잼버리 날씨 생중계] <br>"앞으로 3일간 매일 천둥번개를 동반한 비가 올 수 있습니다." <br> <br>화장실과 샤워실을 각각 2천 칸 이상씩 마련해 위생에 주력한 미국과 달리, 새만금 잼버리는 역대 최다 인원에도 불구하고 부실한 위생 시설로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. <br><br>[한국 잼버리 참여 대원(칠레)] <br>"감옥에 있는 화장실 같아요." <br><br> 새만금과 비슷한 간척지에서 대회를 진행한 일본은 새만금 잼버리의 3분의 1 정도 예산을 투입했습니다. <br> <br> 회의나 출장 등에 쓴 비용은 3억여 원으로 1%가 되지 않습니다. <br> <br> 대신 전체 예산의 20%를 부지 정비에 쏟았고 17%는 식자재 준비에 썼습니다. <br><br>새만금 잼버리 준비위가 과거 선례를 알면서도 1천억 원이 넘는 예산을 펑펑 썼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[유호림 / 강남대 경제세무학과 교수] <br>"(간이화장실 같은) 소모적인 설치물인 경우에는 일회적인 거죠. 이런 부분에 예산이 과다 집행됐거나,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면 감사로 집중적으로 봐야 할 필요가 있다." <br> <br> 전방위 감사를 통해 비슷한 대규모 행사에서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철저히 되돌아봐야 할 때입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,전혜정입니다.<br><br>영상편집 이태희<br /><br /><br />전혜정 기자 hye@ichannela.com